코호트(Cohort)
- 정의: 코호트는 특정 시점이나 공통된 특징을 공유하는 사용자 집단을 말합니다. 예를 들어, 특정 날짜에 가입한 사용자들, 특정 캠페인에서 유입된 사용자들, 혹은 특정 행동(예: 첫 구매)을 한 사용자들이 하나의 코호트가 됩니다.
- 사용 목적: 코호트 분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특정 사용자 집단의 행동 변화를 추적하는 데 사용됩니다. 이를 통해 사용자 유지율, 활동성, 구매 패턴 등을 분석하고, 특정 시점의 사용자 행동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.
- 예시: 2024년 1월에 가입한 사용자 코호트를 분석하여, 1개월 후, 3개월 후, 6개월 후의 리텐션(유지율)을 비교합니다. 이를 통해 특정 시점에 가입한 사용자들의 장기적인 행동 패턴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.
세그먼트(Segment)
- 정의: 세그먼트는 공통의 특성을 기반으로 사용자들을 그룹화한 집단을 말합니다. 여기서 공통의 특성은 인구통계적 데이터(예: 연령, 성별, 위치)나 행동 데이터(예: 구매 빈도, 사용 시간) 등이 될 수 있습니다.
- 사용 목적: 세그먼트 분석은 특정 사용자 그룹의 현재 행동이나 특성을 분석하고, 이를 기반으로 마케팅 전략을 세우거나,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사용됩니다. 세그먼트를 통해 각기 다른 사용자 그룹의 요구를 더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.
- 예시: 20대 여성 사용자들을 세그먼트로 나누어, 이들이 주로 구매하는 상품군이나, 이용 빈도 등을 분석합니다. 이를 바탕으로 해당 그룹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 캠페인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.
차이점
- 분석 시점: 코호트는 특정 시점에 행동을 기준으로 한 사용자 그룹을 분석하는 반면, 세그먼트는 특정 특성이나 행동을 기준으로 현재 시점에서 그룹을 나누어 분석합니다.
- 목적: 코호트는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며, 세그먼트는 현재의 특정 특성을 기준으로 사용자 집단을 이해하고 대응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.
- 활용: 코호트는 사용자 유지율, 리텐션 분석 등에 주로 사용되며, 세그먼트는 마케팅 캠페인, 개인화된 서비스 제공 등에 주로 활용됩니다.
'코드잇 데이터 애널리스트 위클리 페이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FM 분석이란 무엇이며, 이를 통해 고객을 어떻게 세분화할 수 있는가? (0) | 2024.08.22 |
---|---|
AARRR 프레임워크와 리텐션 개념 및 Funnel 분석과의 연관성은? (0) | 2024.08.22 |
Support, Confidence, Lift 지표의 정의와 각 지표의 중요성은? (0) | 2024.08.16 |
장바구니 분석의 다양한 활용 사례는 뭐가 있을까? (0) | 2024.08.16 |
히스토그램의 주요 단점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인 시각화 방법은? (0) | 2024.08.06 |